달란트 비유 (눅19:11-27)
14 또 어떤 사람이 타국에 갈 때 그 종들을 불러 자기 소유를 맡김과 같으니
15 각각 그 재능대로 한 사람에게는 금 다섯 달란트를, 한 사람에게는 두 달란트를, 한 사람에게는 한 달란트를 주고 떠났더니
16 다섯 달란트 받은 자는 바로 가서 그것으로 장사하여 또 다섯 달란트를 남기고
17 두 달란트 받은 자도 그같이 하여 또 두 달란트를 남겼으되
18 한 달란트 받은 자는 가서 땅을 파고 그 주인의 돈을 감추어 두었더니
19 오랜 후에 그 종들의 주인이 돌아와 그들과 결산할새
20 다섯 달란트 받았던 자는 다섯 달란트를 더 가지고 와서 이르되 주인이여 내게 다섯 달란트를 주셨는데 보소서 내가 또 다섯 달란트를 남겼나이다
21 그 주인이 이르되 잘하였도다 착하고 충성된 종아 네가 적은 일에 충성하였으매 내가 많은 것을 네게 맡기리니 네 주인의 즐거움에 참여할지어다 하고
22 두 달란트 받았던 자도 와서 이르되 주인이여 내게 두 달란트를 주셨는데 보소서 내가 또 두 달란트를 남겼나이다
23 그 주인이 이르되 잘하였도다 착하고 충성된 종아 네가 적은 일에 충성하였으매 내가 많은 것을 네게 맡기리니 네 주인의 즐거움에 참여할지어다 하고
24 한 달란트 받았던 자는 와서 이르되 주인이여 당신은 굳은 사람이라 심지 않은 데서 거두고 헤치지 않은 데서 모으는 줄을 내가 알았으므로
25 두려워하여 나가서 당신의 달란트를 땅에 감추어 두었었나이다 보소서 당신의 것을 가지셨나이다
26 그 주인이 대답하여 이르되 악하고 게으른 종아 나는 심지 않은 데서 거두고 헤치지 않은 데서 모으는 줄로 네가 알았느냐
27 그러면 네가 마땅히 내 돈을 취리하는 자들에게나 맡겼다가 내가 돌아와서 내 원금과 이자를 받게 하였을 것이니라 하고
28 그에게서 그 한 달란트를 빼앗아 열 달란트 가진 자에게 주라
29 무릇 있는 자는 받아 풍족하게 되고 없는 자는 그 있는 것까지 빼앗기리라
30 이 무익한 종을 바깥 어두운 데로 내쫓으라 거기서 슬피 울며 이를 갈리라 하니라
이 구절은 마지막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어떻게 그리스도인으로 세상을 살아내야 하냐를 묵상하게 해줍니다. 한 달란트는 6천 데나리온에 해당하는 큰 돈입니다. 6천 데나리온이라고 하면 한 사람의 20년 연봉에 해당하는 정도의 양입니다.
14 또 어떤 사람이 타국에 갈 때 그 종들을 불러 자기 소유를 맡김과 같으니
15 각각 그 재능대로 한 사람에게는 금 다섯 달란트를, 한 사람에게는 두 달란트를, 한 사람에게는 한 달란트를 주고 떠났더니
16 다섯 달란트 받은 자는 바로 가서 그것으로 장사하여 또 다섯 달란트를 남기고
17 두 달란트 받은 자도 그같이 하여 또 두 달란트를 남겼으되
18 한 달란트 받은 자는 가서 땅을 파고 그 주인의 돈을 감추어 두었더니
⇒ 주인이 종들에게 맡긴 것은 자기 소유의 것이에요. 종들 것이 아니에요. 종은 주인의 것을 맡았을 뿐, 자기 소유가 아니라는 거에요. 우리 삶도 그래요. 우리의 삶도 우리 것은 없어요. 주인은 하나님이지... 하지만 우리는 내 수중에 있으면 그게 내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그렇게 주인이 떠나자마자 바로 지체하지 않고 그것을 가지고 가서 두 종은 이윤을 남겼어요. 그런데 세번째 종은 땅에 묻었어요. 당시 이 시대에 이런 일은 일상적인 일이었어요. 전쟁이 많이 나기도 하니까 사람들이 돈을 땅에 뭍기도 했단 말이에요. 이 사람은 무슨 동기에서 그랬는지 모르겠지만 그것을 묻었어요. 무슨 동기였을까요? 저 사람은 다섯 달란트, 이 사람은 두 달란트인데 자기한테는 한 달란트만 줘서 그랬던걸까요?
이유야 어째됐던 모든 것은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맡긴 것이라는 것이 생각이 우선되어야 하고, 그 맡기신 것을 어떻게 관리해야 마땅한지 생각해 봐야겠죠.
⇒ 시간으로 봅시다. 우리에게 30년을 주셨는데, '아! 나는 죄짓지 않을래!' 이런 생각으로 30년 동안 지하에 꽁꽁 숨어 있다가 하나님이 오시는 날에 그제서야 하나님 앞에 나타난 꼴이에요.
19 오랜 후에 그 종들의 주인이 돌아와 그들과 결산할새
20 다섯 달란트 받았던 자는 다섯 달란트를 더 가지고 와서 이르되 주인이여 내게 다섯 달란트를 주셨는데 보소서 내가 또 다섯 달란트를 남겼나이다
21 그 주인이 이르되 잘하였도다 착하고 충성된 종아 네가 적은 일에 충성하였으매 내가 많은 것을 네게 맡기리니 네 주인의 즐거움에 참여할지어다 하고
22 두 달란트 받았던 자도 와서 이르되 주인이여 내게 두 달란트를 주셨는데 보소서 내가 또 두 달란트를 남겼나이다
23 그 주인이 이르되 잘하였도다 착하고 충성된 종아 네가 적은 일에 충성하였으매 내가 많은 것을 네게 맡기리니 네 주인의 즐거움에 참여할지어다 하고
⇒ 다섯 달란트 맡았던 자와 두 달란트 맡았던 자의 대화를 동일하게 토시하나 안틀리고 반복해서 기록하고 있어요. 다섯을 주었건, 둘을 주었건 주인과 종의 대화는 동일합니다. 그리고 공통적으로 둘 다 "적은 일"이라고 말씀하고 있어요. 보세요!! 하나님은 우리에게 절대로 큰 일을 맡기지 않으세요. 태양을 뜨고 지게 하거나 봄이 오게 하거나 비를 내리게 하거나... 이런 큰 일을 절대 맡기지 않으세요. 절대!!!
여러분 아침 예배에 저같은 사람이 매일 나오는거 자체가 참 신기한 일입니다. 이게 적은 일입니다. 큰 일은 하나님이 다 하세요. 그 분은 우리에게 지극히 적은 일을 맡기십니다.
⇒ 근데 종들끼리 이야기할 때 왜 쟤는 다섯이고 나는 둘이야? 이런 말을 할 수도 있지만, 주인의 입장에서는 다섯이나 둘이나 그게 그거라는 겁니다. 둘 다 크지 않다는 것입니다. 하나님이 우리에게 주시는 것에는 절대로 실수가 없다는 것을 인정하시기 바랍니다. 비교하기 시작하면 그게 재앙의 시작이에요. 주시면 주시는대로 안주시면 안주시는대로 덜주시면 덜 주시는대로... 그렇게 주시는 달란트를 잘 사용합니다.
⇒ 다섯 달란트 남겼기 때문에 칭찬하시는게 아니에요. 주인이 주신 달란트를 가지고 열심히 살았기 때문에, 주인이 돌아와서 그동안 열심히 살았던 것에 대한 기쁨에 동참하게 되는 영광을 누리게 되는 것이이죠. 다섯을 남겼 건, 둘을 남겼 건 동일하게!! 금액은 상관없이!!!
24 한 달란트 받았던 자는 와서 이르되 주인이여 당신은 굳은 사람이라 심지 않은 데서 거두고 헤치지 않은 데서 모으는 줄을 내가 알았으므로
25 두려워하여 나가서 당신의 달란트를 땅에 감추어 두었었나이다 보소서 당신의 것을 가지셨나이다
26 그 주인이 대답하여 이르되 악하고 게으른 종아 나는 심지 않은 데서 거두고 헤치지 않은 데서 모으는 줄로 네가 알았느냐
27 그러면 네가 마땅히 내 돈을 취리하는 자들에게나 맡겼다가 내가 돌아와서 내 원금과 이자를 받게 하였을 것이니라 하고
28 그에게서 그 한 달란트를 빼앗아 열 달란트 가진 자에게 주라
⇒ 한 달란트 받은 자는 그냥 "제가 땅에 뭍었습니다"하면 될 것을 말로 매를 법니다. "주인 당신은 씨앗을 뿌리지 않고 거두는 사람, 탈곡하지 않고 추수하는 사람인줄 내가 압니다." 주인이 굳은 사람이라고 잘못 알고 있었다는 거죠. 이 사람은 한 달란트를 땅에 뭍은 것보다 주인을 잘못 알고있는 것부터가 문제에요.
⇒ 다섯 달란트나 두 달란트 맡은 사람에게 하셨던 말씀과는 정반대로 "악하고 게으른 종아"라고 합니다. 얘가 뭘 그렇게 악한짓까지 했나? 싶을 수도 있어요. 근데 게으른 것이 악한 겁니다. 주인을 잘 모르는게 악한 겁니다. 이게 신앙이에요. 하나님을 모르고 살면 악하게 사는 것 밖에 다른 게 없어요. 이 사람은 바닥에 숨긴게 문제가 아니라 주인을 알려고도 하지 않았고 주인이 뭣 때문에 한 달란트를 남겼는지도 모른단 말입니다. 그리고 그의 말은 주인을 비난하는 말에 지나지 않아요.
⇒ "그래? 너가 나를 그런 사람이라고 알고 있었다면 너가 은행에나 맡겨서 이자라도 받아왔어야지"라고 주인은 되받습니다. 다섯 맡은 사람이나 둘 맡은 사람은 결국 원금 그대로 남겼단 말이에요. 하나 맡은 사람도 결국 원금 그대로 하나 남겼어요. 하나님은 얼마 남겼나 그걸 보시는 분이 아니란 말이에요!! (취리=환전상)
29 무릇 있는 자는 받아 풍족하게 되고 없는 자는 그 있는 것까지 빼앗기리라
30 이 무익한 종을 바깥 어두운 데로 내쫓으라 거기서 슬피 울며 이를 갈리라 하니라
⇒ 이렇게 영적세계는 별개입니다. 실물경제를 이야기하는게 아니라 우리 모든 삶의 특권과 기회에 관힌 비유입니다. 주님께서 우리에게 복음을 맡기셨어요. 이건 정말 위대한 특권이지요. 그런데 그걸 가만히 움켜쥐고 나만 가지고 있냐는 말이에요!! 나는 무엇을 받았나 도대체 내 인생에 받지 않은건 무엇인가? 내것이라고 생각하고 나만 누린 적은 없나? 주신 복음을 나만 누린 적이 없나? 생각해보세요.
⇒ 여러분은 무엇을 받으셨나요? 하나님께서는 각 사람에게 맞는 은사를 꼭 주셨어요. 그 은사가 무엇입니까? 무슨 은사이건 그 은사로 하나님의 기쁨을 전하시길 바랍니다. 살아나는 기쁨을 경험하시길 바랍니다. 우리의 은사는 나누면 나눌 수록 더 많아질 것이고, 우리가 그것을 쓰지 않으면 바닥에 그냥 파뭍어 놓은 거랑 다름이 없고 결국 마지막 날, 하나님께 '악하고 게으른 종아' 이 소리를 들을 수 밖에 없어요. 어제까지는 그렇게 살았는지 몰라도 오늘부터는 주신 것을 마음껏 나누면서 사시길 바랍니다.
⇒ 호세아4:6 내 백성이 지식이 없으므로 망하는도다 네가 지식을 버렸으니 나도 너를 버려 내 제사장이 되지 못하게 할 것이요 네가 네 하나님의 율법을 잊었으니 나도 네 자녀들을 잊어버리리라
얼마나 무서운 말씀입니까? 우리가 여호와를 아는 지식이 없어서 망하고 있는 중이라는 거에요. 우리가 말씀을 버리면 우리를 제사장을 삼지 않겠다고 하시고 우리가 말씀을 잊으면 네 자녀들이 말씀을 잊을 것이라고 하십니다. 우리가 사는 지금이 어떻습니까? 우리는 번성했지만, 그럴수록 돈 벌고, 돈 쓰는 일에 집중하느라 성경보는 시간을 잃었어요. 무슨 일에 우리 삶의 우선순위를 두어야 하는지 기억하시길 바랍니다.
'마태복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일1말씀] 마태복음 26:1-16 영원한 헌신과 배신 (0) | 2021.05.27 |
---|---|
[1일1말씀] 마태복음 25:31-46 양과 염소를 나누다 (0) | 2021.05.25 |
[1일1말씀] 마태복음 25:1-13 본질에 집중하는 삶 (0) | 2021.05.21 |
[1일1말씀] 마태복음 24:32-51 늘 준비하고 있으라 (0) | 2021.05.20 |
[1일1말씀] 마태복음 24:15-31 표적과 기사의 함정 (0) | 2021.05.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