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그들이 떠난 후에 주의 사자가 요셉에게 현몽하여 이르되 헤롯이 아기를 찾아 죽이려 하니 일어나 아기와 그의 어머니를 데리고 애굽으로 피하여 내가 네게 이르기까지 거기 있으라 하시니
14 요셉이 일어나서 밤에 아기와 그의 어머니를 데리고 애굽으로 떠나가
15 헤롯이 죽기까지 거기 있었으니 이는 주께서 선지자를 통하여 말씀하신 바 애굽으로부터 내 아들을 불렀다 함을 이루려 하심이라
16 이에 헤롯이 박사들에게 속은 줄 알고 심히 노하여 사람을 보내어 베들레헴과 그 모든 지경 안에 있는 사내아이를 박사들에게 자세히 알아본 그 때를 기준하여 두 살부터 그 아래로 다 죽이니
17 이에 선지자 예레미야를 통하여 말씀하신 바
18 라마에서 슬퍼하며 크게 통곡하는 소리가 들리니 라헬이 그 자식을 위하여 애곡하는 것이라 그가 자식이 없으므로 위로 받기를 거절하였도다 함이 이루어졌느니라
19 헤롯이 죽은 후에 주의 사자가 애굽에서 요셉에게 현몽하여 이르되
20 일어나 아기와 그의 어머니를 데리고 이스라엘 땅으로 가라 아기의 목숨을 찾던 자들이 죽었느니라 하시니
21 요셉이 일어나 아기와 그의 어머니를 데리고 이스라엘 땅으로 들어가니라
22 그러나 아켈라오가 그의 아버지 헤롯을 이어 유대의 임금 됨을 듣고 거기로 가기를 무서워하더니 꿈에 지시하심을 받아 갈릴리 지방으로 떠나가
23 나사렛이란 동네에 가서 사니 이는 선지자로 하신 말씀에 나사렛 사람이라 칭하리라 하심을 이루려 함이러라
누가복음은 마리아의 역할에 중점을 두고 있지만, 마태는 요셉의 역할을 강조합니다. 요셉은 다윗 지파임을 말하고 있고, 예수님께서 물론 성령으로 잉태된 것이지만 법적, 사회적으로 울타리가 되어 주었던 요셉의 역할이 중요했음을 전하고 있습니다. 마태는 해석되지 않았던 구약의 부분 부분들이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해석되는 것을 경험했고, 구약 전체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성취되었다는 것을 절감했기 때문에 그 분의 탄생부터가 말씀이 이 땅에 오신 것으로 기록하고 있습니다.
13 그들이 떠난 후에 주의 사자가 요셉에게 현몽하여 이르되 헤롯이 아기를 찾아 죽이려 하니 일어나 아기와 그의 어머니를 데리고 애굽으로 피하여 내가 네게 이르기까지 거기 있으라 하시니
14 요셉이 일어나서 밤에 아기와 그의 어머니를 데리고 애굽으로 떠나가
15 헤롯이 죽기까지 거기 있었으니 이는 주께서 선지자를 통하여 말씀하신 바 애굽으로부터 내 아들을 불렀다 함을 이루려 하심이라
⇒ 왜 애굽으로 피신할까요? 이것은 출애굽을 이루기 위한 사건이라고 마태는 이해하고 있습니다. 예수의 탄생은 제2의 출애굽이라는 겁니다. 이것이 구원의 완성이라는 겁니다. 구원이란 세상을 벗어나는 겁니다. 즉, 출애굽하는 겁니다. 따라서 성경적인 관점에서 출애굽만큼 구원의 완성을 의미하는 것은 없습니다. 마태는 이로써 호세아 11장 1절 말씀이 이루어졌다고 말합니다.
호11:1 이스라엘이 어렸을 때에 내가 사랑하여 내 아들을 애굽에서 불러냈거늘
16 이에 헤롯이 박사들에게 속은 줄 알고 심히 노하여 사람을 보내어 베들레헴과 그 모든 지경 안에 있는 사내아이를 박사들에게 자세히 알아본 그 때를 기준하여 두 살부터 그 아래로 다 죽이니
17 이에 선지자 예레미야를 통하여 말씀하신 바
18 라마에서 슬퍼하며 크게 통곡하는 소리가 들리니 라헬이 그 자식을 위하여 애곡하는 것이라 그가 자식이 없으므로 위로 받기를 거절하였도다 함이 이루어졌느니라
⇒ 모세와 예수님의 생애를 비교하고 있어요. 모세가 태어났을 때도 바로가 모든 남자 아이를 다 죽이라고 했지요? 그리고 후에 하나님께서 출애굽을 계획하시고 그 인도자로 모세를 세우셨어요. 마찬가지로 예수님이 태어났을 때도 헤롯 왕이 당시 2살 아래 아이를 모두 죽이라고 했습니다. 그래서 그 당시 아이를 둔 어머니의 통곡소리가 온 마을에 들렸습니다. 이로써 예레미야 31장 15절이 이루어졌다는 거에요.
렘31:15 여호와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시니라 라마에서 슬퍼하며 통곡하는 소리가 들리니 라헬이 그 자식 때문에 애곡하는 것이라 그가 자식이 없어져서 위로 받기를 거절하는도다
당시 북이스라엘을 대표하는 베냐민 지파가 바벨론 포로로 끌려갈 때 집결 장소가 라마였어요. 그래서 베냐민 자손들이 끌려갈 때 라헬이 라마에서 통곡했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라헬의 무덤이 베들레헴이다, 라마다라는 두 가지 설이 있지만 베냐민 지파 후손들은 라헬의 무덤이 라마에 있다고 믿고 있어요.
(이렇게 마태는 구약의 근거 속에서 예수님의 탄생을 기록하고자 합니다.)
19 헤롯이 죽은 후에 주의 사자가 애굽에서 요셉에게 현몽하여 이르되
20 일어나 아기와 그의 어머니를 데리고 이스라엘 땅으로 가라 아기의 목숨을 찾던 자들이 죽었느니라 하시니
21 요셉이 일어나 아기와 그의 어머니를 데리고 이스라엘 땅으로 들어가니라
⇒ 보면 요셉이 주도적으로 아기 예수의 생애를 이끌어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생물학적으로는 연관이 없을지 몰라도 법적으로 아버지의 역할을 열심히 했기 때문에 말씀이 이루어질 수 있었다고 말하는 겁니다.
결국 헤롯은 예수님을 죽이지 못하고 죽었어요. 그가 죽은 후에 애굽에서 불러내심을 받았어요. 고비 고비마다 요셉이 듣고 요셉이 결정을 내리고 이스라엘로 돌아갑니다.
22 그러나 아켈라오가 그의 아버지 헤롯을 이어 유대의 임금 됨을 듣고 거기로 가기를 무서워하더니 꿈에 지시하심을 받아 갈릴리 지방으로 떠나가
23 나사렛이란 동네에 가서 사니 이는 선지자로 하신 말씀에 나사렛 사람이라 칭하리라 하심을 이루려 함이러라
⇒ 애굽으로 피신했다가 돌아오는데 헤롯 왕의 아들인 아켈라오가 유대의 임금이 됐다는 이야기를 듣고 요셉을 그 땅으로 가기 무서워합니다. 왜냐하면 아켈라오는 헤롯 왕 못지 않은 악덕한 왕이었기 때문입니다. 요셉은 정황에 따라 여기는 피해야겠다고 결심하고 북부 갈릴리까지 올라가게 됩니다. 그리고 그 갈릴리의 나사렛은 갈릴리 지방에서 가장 작은 마을입니다. 요셉은 왜 굳이 가장 작은 마을로 가게 되었을까요? 마태는 이것도 구약의 실현을 위한 것이라고 말해요. 하지만 사실 구약 어디를 찾아도 예수님이 나사렛과 연결된 부분은 없어요. 만약 마태가 이렇게 기록하지 않았다면 나사렛 예수라는 말을 해석하기 어려웠을 겁니다.
⇒ 이사야서를 보면 나사렛의 어원을 찾을 수 있어요.
사11:1 이새의 줄기에서 한 싹이 나며 그 뿌리에서 한 가지가 나서 결실할 것이요
사53:2 그는 주 앞에서 자라나기를 연한 순 같고 마른 땅에서 나온 뿌리 같아서 고운 모양도 없고 풍채도 없은즉 우리가 보기에 흠모할 만한 아름다운 것이 없도다
마태는 '연한 순'이라는 단어와 나사렛의 어원인 '순'을 연결시켜서 예수님께서 나사렛에서 자란 것 역시 구약의 실현을 위한 것이라고 말하고 있어요. 마태는 구약 전체를 그리스도를 통해서 재발견하고, 재해석하고 구약 전체가 관통된 사람입니다. 실제로 나사렛에 가보면 정말 아~무것도 없는 마을이에요. 그렇게 고운 모양도 없고 풍채도 없는, 아무 것도 없는 동네 나사렛에서 순처럼 연약한 그 분이 자라나서 메시아가 됩니다.
요7:41 어떤 사람은 그리스도라 하며 어떤 이들은 그리스도가 어찌 갈릴리에서 나오겠느냐
예수님이 어떻게 나사렛이랑 관련이 있는지 논쟁이 붙는 장면이 실제로 성경에 등장하기도 해요.
예수님은 이 땅의 메시아가 되기 위해 가장 작은 자로 태어나셨고, 가장 작은 동네에서 자라면서 온 세상을 품은 분으로 자라셨어요. 마태는 예수의 어린 시절을 보여줌으로써 그 분이 어떻게 출애굽을 완성하셨는지 그 의도를 보여줍니다. 예수를 만난 자들은 모두 출애굽을 경험합니다. 출애굽 없이 구원은 없습니다. 구원이 없이는 어떤 것도 진정한 출세, 진정한 성공을 이룰 수 없습니다. 출애굽!! 세상을 떠나본 자 많이 세상으로 돌아갈 수 있고, 세상을 이길 수 있습니다. 그리스도인은 세상을 떠나본 자입니다. 세상을 떠나본 자라야 세상을 품을 수 있습니다. 당신은 그리스도인입니까? 세상을 떠나보신 경험이 있습니까?
두란노 생명의삶 큐티 개역개정 3월
COUPANG
www.coupang.com
Why Jesus(왜 예수인가)
COUPANG
www.coupang.com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
'마태복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일1말씀] 마태복음 4:1-11 공생애를 위한 시험 (0) | 2021.02.16 |
---|---|
[1일1말씀] 마태복음 3:1-17 기쁨과 사랑의 능력 (0) | 2021.02.15 |
[1일1말씀] 마태복음 2:1-12 누가 참 예배자인가? (2) | 2021.02.13 |
[1일1말씀] 마태복음 1:18-25 의로운 사람의 결정 (0) | 2021.02.12 |
[1일1말씀] 마태복음 1:1-17 역사에 감춰진 언약 (0) | 2021.02.09 |
댓글